2018-09-29 19:11:40 , 277 조회
written by 한국안전교육
공공기관안전보건관리메뉴얼 (1).pdf (3.3M) [14] DATE : 2018-09-29 19:11:40
제1장 건설재해 현황 및 발주 관계자의 안전관리 역할 1-1 건설재해 현황 1-2 발주자의 안전관리 필요성 1-3 발주자 유형별 용어 정의 1-4 발주자의 안전관리 역할 1-5 감리원의 안전관리 역할 1-6 건설사업관리자(CMr)의 안전관리 역할 1-7 주요 국가별 안전관리법규에 따른 발주기관 역할 비교 제2장 건설 안전보건 관련 주요제도 2-1 사전 안전성평가 제도(유해·위험방지계획서 심사?확인) 2-2 유해?위험방지계획서 및 안전관리계획서 통합작성 2-3 건설업체 재해율(환산재해율) 2-4 중대재해 발생 건설업체 제재 2-5 산재보험 개별실적 요율제 적용 2-6 유해?위험 기계·기구 2-7 안전인증·검사 제도 2-8 석면조사 2-9 건설공사 시 각종 신고 및 처리사항 제3장 건설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이론 3-1 안전보건관리 체제 3-2 안전보건교육 3-3 산업재해 통계 3-4 재해발생형태의 정의와 분류기준 3-5 건설현장 정리정돈 3-6 위험성평가 3-7 산업안전보건법의 건설업 관련 규정 3-8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 해설 [ 부 록 ] 1.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(고용노동부고시 제2010-10호) 2. 건설안전관련 질의·회시집(고용노동부) 3. 각종 서식
한국안전교육 / 2018-09-29
한국안전교육 / 2018-09-29